top of page
Recent Posts

CG 애니메이션 업계는 진화하고 있는건가? 퇴화하고 있는건가?

  • 장쌤
  • 2017년 8월 8일
  • 3분 분량

* 이 게시물은 장쌤 개인의 생각입니다. * * 본 게시물의 내용을 퍼갈시에는 출저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출저 홈페이지 주소인 https://tsjanimation.wixsite.com/main 기재 부탁드립니다. 좋은 블로깅 문화 화이팅!*

<출처: Anthony Hodgson 비메오 페이지>

연기 애니메이션 메이킹 오브의 좋은 예제. 애니메이션의 바디 메카니즘은 나중엔 기본이 되고 그 위에 스타일과 캐릭터성을 입힌 연기력을 레이어링(layering)하는 단계까지 잘해야 좋은 회사로 갈 수 있다. CG 애니메이터는 이런 실력이 되기 위해서 몇년에서 몇십년을 노력하면서 계속적으로 장인 직업 분야에서 존속을 하면서 산다. 야근과 주말 출근은 이 업계에서는 당연시 여겨지고 있으며 단지 야근 수당을 받으면서 일을 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하지만, 이걸 나쁘다 좋다 생각하는 것은 작업자와 회사 나름이다. 본인이 좋아서 더욱 좋은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시간을 보내다 보면 야근을 할 수 있는거지만 데드라인과 작업량에 지쳐 어쩔 수 남아서 일하는 케이스도 있기 때문에 회사마다 작업자마다 입장이 틀리기 때문이다. 이 게시물은 CG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이 업계의 진화 혹은 퇴화를 주제로 삼고있다.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1. 점점 정규직은 사라지는 추세이다. 회사 입장에서는 보험, 퇴직금 기타등등 여러가지 돈을 아끼기 위해서는 작업자들을 정규직으로 고용하는 것 보단 프로젝트마다 계약으로 고용하는 것이 이익이다. 1941년에 디즈니에서 애니메이터 노동 조합이 생긴 이래 회사와 직원들간의 분쟁은 항상 이어졌다. 직원들이 원하는 연금, 퇴직금, 보험, 정당한 연봉 협상, 복지 등과 이익을 목적으로 운영을 하는 회사가 함께 애니메이션을 만들려고 할때는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그래서 회사 입장에서 이런 문제들을 한번에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규직이 아니라 계약직으로 관계를 존속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계약직은 연금이나 퇴직금을 줄 의무가 없기 때문) 물론 이것도 엄밀히 보자면 불법이지만(왜냐하면 계약직을 연속해서 장기간 동안 일을 시키면 그것은 정규직이나 다름이 없기 때문에) 국내, 해외 회사마다 이런식으로 정규직을 점층적으로 없애나가고 있는 추세는 부정을 할 수 가 없다. 물론 좋은 예제도 있다. 블리자드 같은 경우엔 자기 직원들을 잘 챙겨주기로 매우 유명한 회사이다. 그 증거로 매년 시행하는 세계 100개의 가장 일하기 좋은 회사 순위에서 블리자드는 거의 빠진 적이 없다. (검색해보면 리스트 나옴) 2. 점점 회사들은 세금이 저렴한 다른 나라에 지사를 만들어서 영상들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이게 부정적이게 들릴수도 있지만 사실 이것 때문에 해외로 일을 하러 갈 수 있는 기회들이 수없이 많이 생긴건 사실이다. 캐나다, 중국, 인도 등 세금혜택이 많고 노동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적은 나라를 택하여 큰 CG 회사들은 점점 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그렇다고 전부 좋은 건 아니다. 품질 관리가 안 되어서 문 닫게 되는 경우도 많다. 2013에 캐나다 픽사를 비롯해서 근래에는 드림웍스 상하이, 인도 지사들도 인력을 대거 줄이고 문을 닫을 위기에 놓여있지 않냐는 기사들도 속출하고 있다. 그럼, 애써 이사 혹은 이민을 간 작업자들은 또 갈 곳을 잃어 다른 곳으로 이직을 하며 고민을 해야 되는거고 많은 인생들이 힘들어지는게 하루 아침에 일어날 수도 있어서 젊을때는 문제 없지만 가정을 갖고 있는 경력자에겐 너무나도 위험한 도박처럼 느껴질 수 있는 시대이다. 하지만, 반면 잘 진행하고있는 지사들도 있다. 마치 롤러 코스터를 타고있는처럼 잘되는 회사가 있는가 하면 안 되는 회사도 있고 좀 유지가 되는가 싶다가 하루 아침에 사라지는 회사들도 속출한다. 미국의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은 캐나다 지사에서 카투니한 스타일의 독특한 주제거리를 가진 애니메이션들을 만들면서 대흥행은 아니지만 나름 안정적으로 계속 이어나가고 있고 호주의 애니멀 로직도 캐나다에서 지사를 설립해 많은 VFX 영화들에 참여하고 있다. 실제로 캐나다에서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 말을 들어보면 만족하면서 살고 있는 것 같다. (중국과 인도는 아니지만) 3. 점점 신입들에겐 좋은 기회이지만 경력자들에겐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어 가고 있다. 1번과 2번을 종합해보면 당연히 나오는 결과다. 그래서 요즘 애니메이션을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으로 가르치는 부가 직업을 가진 경력자 애니메이터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안정적인 직장이 아니기에 다른 길을 찾으려고 경력자들은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는 얘기이다. 4. 점점 스튜디오라는 개념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CG 업계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 즉, 아티스트들도 안정적인 직장을 원한다. 앞서 말한 연금, 퇴직금, 보험, 정당한 연봉 협상, 복지 등은 인간이면 원하는 당연한 권리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새로운 더 좋은 방법은 없을까 고민을 하면서 아티스트들은 온라인 세상에 눈을 돌리기 시작을 하고 있다. Arthella, Kickstarter 그리고 Linkedin은 전부 프리랜서들이 온라인으로 일을 찾기 위해서 마련된 온라인 커뮤니티 홈페이지들이다. 근래, 서버와 컴퓨터의 발달이 나날이 빨라지면서 온라인으로 극장판까지도 만들 수 있으며 작업자들은 집에서 편하게 일을 할 수 있는 시대에 근접하고 있음을 요즘 부쩍 느끼고 있다. 업계가 불안하다면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넷플릭스가 방송, 케이블 회사에게 한방을 먹이면서 고객들에게 원하는 것 즉, 저렴한 비용에 많은 독창적이고 재미있는 컨텐츠를 제공했듯이 온라인 시대는 CG 애니메이션 업계도 바꿀 것이라고 작가는 믿는다. 결과적으로 얘기하자면 업계가 안정적이지 못하지만 끊임없이 바뀌고는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그게 퇴화인지 진화인지는 아직 말하기 이르지만 점점 테크가 무시무시하게 발전하는 이 시대에 충분히 긍정적으로 CG 업계는 발전 할 수 있다고 믿고있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장쌤- 소스 출저: https://www.awn.com/animationworld/disney-strike-1941-how-it-changed-animation-comics https://en.wikipedia.org/wiki/Disney_animators%27_strike http://www.cartoonbrew.com/business/dreamworks-layoffs-round-2-170-employees-chopping-block-145773.html http://fortune.com/best-companies/list http://www.cbc.ca/news/business/disney-shuts-down-pixar-canada-s-vancouver-studio-1.1958844 http://www.cartoonbrew.com/business/report-oriental-dreamworks-dying-149460.html http://www.cartoonbrew.com/business/breaking-dreamworks-animation-ceasing-operations-india-144799.html https://www.awn.com/animationworld/artella-ushers-promise-easy-and-affordable-global-creative-production-collaboration

 
 
 

Komentáře


문의하기
  • White YouTube Icon
  • White Instagram Icon
  • White Facebook Icon

© 2017~2022 Young Soo Jang.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독산역 근방

tsjanimation@gmail.com

​카카오 아이디: CAEAL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습니다!

bottom of page